Index
제1장.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일관된 접근법 ............. 17
서론 ............................................................................ 18
지속 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일괄된 접급법 ................................ 18
목표 6: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시설 .......... 19
물과 관련된 과제 ........................................... 21
다른 지속가능개발목표(SDG)와의 주요 상호작용 ......................... 23
정책 및 거버넌스를 통한 대응 ................. 28
목표 7: 모두를 위한 적절한 가격의 믿을 수 있고 지속 가능한 현대적 에너지 ............................... 33
에너지와 관련된 과제 ..................................... 34
다른 지속가능개발목표(SDG)와의 주요 상호작용 ............................ 37
정책 및 거버넌스를 통한 대응 ................. 42
목표 11: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지속 가능한 도시 및 주거지 조성 ...... 43
도시화와 관련된 과제 ............................ 45
도시의 역할과 다른 지속가능개발목표(SDG)와의 주요 상호작용 ........... 50
정책 및 거버넌스를 통한 대응 ........... 53
목표 12: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 ............. 54
주요 과제 ........................................................... 56
다른 지속가능개발목표(SDG)와의 주요 상호작용 .................... 58
정책 및 거버넌스를 통한 대응 ................. 61
목표 15: 육지 생태계 ................................. 64
주요 과제 ............................................................ 65
다른 지속가능개발목표(SDG)와의 주요 상호작용 ............................ 67
정책 및 거버넌스를 통한 대응 .................. 69
각주 ......................................................................... 72
참고문헌 ................................................................... 72
제2장. SDG의 일관된 실행을 위한 8개 기초요소 ........................... 80
서론 .......................................................................... 81
정책일관성과 지속가능개발목표 .................. 82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 8개 기초요소 ........................ 82
정치적 약속 .......................................................... 83
정책 통합 .............................................................. 88
장기적 계획의 대상 기간 ........................... 91
정책 효과 ............................................................... 91
제3장. 국가별 현황: 정책일관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메커니즘 ..... 110
제4장.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의 이행상황 조사 ........167
서론 ................................................................. 168
정책일관성의 이행상황 조사를 위한 분석틀 ....................... 169
정책일관성을 위한 제도적 메커니즘 평가지표 ............................. 169 8 목차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 일관성 2018
정책 상호작용 평가지표 ...................... 173
정책 효과 평가지표 ............................. 175
국가적 우선과제 및 정책일관성 지표 확인을 위한 분석틀 적용 ......... 177
목표 6.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시설 ................................. 177
목표 7. 모두를 위한 적절한 가격의 청정에너지 ................................ 180
목표 11. 지속 가능한 도시 및 지역사회 ............................... 183
목표 12.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 ............ 186
목표 15. 육지 생태계 .............................. 188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 분야 협력국가의 기고 ...........191
세계가 직면한 새로운 현실에 개발기여도지수 적용 ........................191
스리랑카의 에너지 SDG 7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적용의 교훈 ... 193
의회의 SDG 활동 조사: 기술적인 해답 ..................................... 194
각주 ................................................................... 196
참고문헌 ............................................................ 197
제5장. 2030 의제를 위한 국내 및 국제 의제의 조정 .................... 203
서론 ........................................................................ 204
국내 정치 상황을 반영한다는 맥락에서 2030 의제에서의 본 체제 변화에 대한 장기 전망 ......................................................................... 206
수조달러기금조성목표: 2030 의제 실행을 위한 공통영역의 필요성.........213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 일관성 분야 협력국가의 기고................215
SDG 추진을 위한 통합적인 접근법 강화: 고위급정치포럼의 역할은 무엇인가?...... 215
다단계 SDG 정책일관성: 2030 의제에 맞게 정부간 의제 조정 ........ 217
파리기후협약과 2030 의제의 주제 연관성 ................ 219
PPPs를 통한 성공적인 SDG 재원조달을 위한 PCSD 접근법의 역량강화 필요성 ....... 222
충분한 일관성............................................... 224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일일관리 실태 ....... 227
SDG 6, 7, 11, 12, 15와 문화창조산업: 지속가능개발목표를 위한 문화적 여건 조성 ................ 230
각주 ......................................................................... 230
참고문헌 ................................................................. 231